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팔라딘] 트리스트럼 전용 슴딘[부제:마소의 영광을 뒤로하며..]

무적태풍용사 2009. 8. 16. 11:09

안녕하세요.

 

[SpMp]현주입니다.

 

1.11 버젼 이후 횃불을 얻을 수 있는 트리스트럼을 공략하기 위한

 

많은 유형의 케릭터들이 출현했습니다.

 

그중에서도 언제나 가장 앞에 서는 케릭은 슴딘(스마이트를 주력스킬로 이용하는 팔라딘)이었습니다.

 

그리고 유저들에 의해 트리스트런 전용 슴딘에 대한 많은 글이 쓰여졌습니다.

 

그리고 그 슴딘들은 거의 비슷한 유형을 띄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 글에서 보이는 슴딘은 앞에서 많은 분들이 쓰셨던 세팅이나 스킬, 스탯에서 차이를 보일 것 입니다.

 

이 케릭터 유형이 유저님들께 사랑받는가, 버림받는가는 제가 결정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사랑받는 케릭터 유형이 되도록 노력을 기울이려 합니다.

 

그럼 정독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본문은 차례대로 스탯관련, 스킬관련, 아이템 세팅 관련에 대해 쓰여져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스탯편

 

슴딘을 포함하여 거의 모든 팔라딘이 추구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힘 - 최소 투자

 

민첩 - 블럭율75% 유지(홀리쉴드 시전후)

 

바이탈 - 남는 스탯 모두

 

마나 - 투자 없음

 

하지만 제가 제시하는 케릭터유형은 위의 형식과 크게 달라지진 않지만

 

어떤 팔라딘이라도 권장하는 블럭율에서 차이가 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1번(이하 S1)]

[S1]에서 볼 수 있듯이 제 트리스트럼용 슴딘은 블럭율이 48%밖에 되지 않습니다.

 

'왜 블럭율을 75%에 맞추지 않았나?' 라는 의문점이 생기신다면

 

먼저 '왜 팔라딘은 75% 블럭율을 고집하게 되었나?' 라는 의문을 가져보시는걸 권장하고 싶습니다.

 

팔라딘이 보통 75% 블럭율을 고집하게 된것은 홀리쉴드라는 스킬로 인해 블럭율을 맞추기가 쉬운 점도 있었고

 

근접스킬이 대부분인 팔라딘에 블럭율이란 사냥에 있어 꼭 필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패치이후 '콜 투 암즈'라는 룬워드가 등장해

 

팔라딘의 피는 2000대는 우습고 세팅에 따라 3000넘어가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망명'이라는 룬워드가 나옴에 따라 높은 방어력을 확보하게되어 블럭율을 따지기 전에

 

아에 공격이 들어오지 않는 현상이 잦아졌습니다.

 

또한 트리스트럼은 물리 공격보다는 원소공격이 대부분인만큼 블럭율에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 생각하여

 

아이템의 덱스 제한만큼 덱스를 올려주게 되었습니다.

 

[S1]을 보면 민첩성이 105인데..

 

이는 위저드의 덱스제한인 75에서 횃불과 애니를 제외하고 필요한만큼의 덱스를 투자한후

 

링이나 샤코 등에서 추가된 덱스 때문에 보이는 현상입니다.

 

[S1]에서 나온 슴딘의 스탯은 다음과 같습니다.

 

힘 - 투자 없음

 

민첩 - 순수 50까지 투자

 

바이탈 - 남는 스탯을 모두 투자

 

마나 - 투자 없음

 

블럭율은 세미블럭 정도에 만족하고 바이탈에 최대한 스탯을 몰아주어

 

안정적인 피통을 만드는데 노력한 스타일입니다.

 

스탯편은 꼭 참고하실 필요는 없으며 취향에 따라 투자하셔도 무방합니다.


2. 스킬 편

 

스킬은 보통의 슴딘과 많은 차이는 없습니다.

 

아래는 차례대로 공격오오라, 전투스킬, 방어오오라에 투자한 스킬입니다.

 

+올스킬 11포인트가 적용된 모습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 2번(이하S2)]

 

[S2]에서 보면 전투스킬과 공격오오라는 보통 슴딘과 다를바가 없습니다.

 

다른곳은 방어오오라 쪽이라 보면 되는데요.

 

메피와의 격전에서 사용할 셀베이션에 하나를 투자하였고(시전시 약 +101 올레지),

 

라이트닝 계열의 최대 저항력수치를 높혀주기 위해 레지스트 라이트닝에 투자하였습니다.

 

[레지스트 라이트닝에 2스킬 투자시 라이트닝의 최대저항력이 1상승합니다(패시브)]

 

메피의 블리자드도 충분히 위협적이지만

 

레이븐의 20% 콜드 흡수와 망명에서의 +5% 최대 콜드레지스트 옵션을 믿고

 

레지스트 콜드에는 투자 하지 않았습니다.

 

망명의 디파이언스로 방어력은 확보하였으므로 디파이언스에는 투자를 하지 않았고

 

이동은 텔레포트가 주력이 되었기 때문에 비거또한 투자를 하지 않았습니다.


3. 아이템 편

 

부제가 '마소의 영광을 뒤로하며..' 인만큼 마소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번 세팅의 주인공은 베르작 위저드를 비롯한 강타장, 스웹, 패케링 정도입니다.

 

마소는 최대 70%의 강타를 가지고 있어 보스와 대전시 매우 빠른 사냥 속도를 보여줍니다.

 

사실 처음 다른 유형을 시도할땐 샤에작 위저드를 사용 하였지만

 

고어라이더에만 있는 15%만의 강타옵션으로는 아무래도 마소를 넘어서기는 어렵다고 판단

 

위저드에 베르작을 하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50%패스트 캐스팅과 마나와 올레지가 예쁜 위저드 입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강타장을 썻는데요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강타장에선 20%공격속도가 필수입니다.

 

[이는 파나틱시즘을 키고 스마이트를 시전할때 6프레임을 맞추기 위해서 입니다.]

 

제가 현제 쓰는 강타장은 +8% 강타지만 나중에 10%짜리를 뽑아볼 예정입니다.

 

강타장을 만드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최상급 루비+네프룬+주얼(매직,레어,유닉)+헤비글러브(샤크스킨글러브,뱀파이어본글러브)]

 

강타장과 베르작 위저드 그리고 고어라이더로 인해 최소 40% 이상의 강타를 확보하게 됩니다.

 

마소와 큰 차이가 있는것 같지만 막상 횃불퀘스트를 해보면 보스와 대전하는 시간에서 많은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또 빠져서는 안될 아이템으로는 패케링을 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왜 패케링을 사용하느냐, 그것은 위저드+스웹+패케링으로 80%의 패스트 캐스팅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쓰고 있는 패케링은 위의 샷과 같은데요, 80%의 패스트 캐스팅과 위저드에서 제공되는 충분한 마나는

 

케릭터의 이동을 수월하게 해줍니다.

 

또한 스웹에 대한 부연설명을 잠깐 하겠습니다.

 

보통 미스릴을 쓰면 '30~40 바이탈' 즉 90~120피를 더 얻게 됩니다.

 

하지만 스웹도 50피 정도를 확보합니다.

 

그 이유는 콜투암즈에 있는데요.

 

많은 스탯을 바이탈에 투자했을 때, +1오더는 추가로 50피 정도를 확보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크린샷3(이하 S3)]

[S3]을 보면 셀베이션을 키고 메피와 한참 싸우고 있는 제 케릭이 보입니다.

 

잠깐 스크린샷좀 찍으려고 자리잡는데 피가 많이 빠져버렸네요.

 

메피스토의 컨빅션을 맞고도 레지는 80/80/84/75로 변함이 없습니다.

 

셀베이션과 위자드의 올레지는 정말 경이로운 수치임을 다시 한 번 증명하는 스크린 샷이 되었군요.

 

마지막으로..

 

위 케릭은 덴 오브 이블, 라다먼트의 소굴, 제이드 동상, 람 에센의 책, 이주얼, 앤야구출 퀘스트를

 

노말/나이트메어/헬에 걸쳐 아무것도 수행하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디아블로 클랜 원문보기 글쓴이 : [SpMp]현주™